질환백과
- 정의
- 심낭 압전은 심장이 압박되어 심장 내로 충분한 양의 혈액을 채울 수 없어 심박출량이 감소하고, 이로 인해 혈압이 떨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. 이는 심장을 둘러싼 심낭 내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심낭 삼출이 발생하고, 심낭 삼출이 갑자기 증가하여 심낭내압을 증가시킴으로써 발생합니다.  
- 원인
- 심낭 압전은 악성 종양의 10%에서 발생합니다. 관통상을 입은 모든 환자는 심낭 압전을 의심해야 합니다. - 심낭 압전은 심낭염을 유발할 수 있는 모든 질환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심낭 압전은 바이러스성 심낭염, 특발성 심낭염, 교원성 질환과 연관된 심낭염에서는 비교적 드물게 나타나는 반면, 결핵성 심낭염이나 악성 종양과 동반된 경우에서는 흔하게 나타납니다. 그 밖에도 심근경색, 대동맥 박리, 외상, 개심 수술, 요독증, 종양, 심장이나 심장 부위의 다른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급성 심낭염의 15% 정도는 심낭 압전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- 심낭압이 증가하여 심장의 이완기 확장에 장애가 생기면, 이완기 좌심실 용적이 감소하고, 결국 심박출량이 감소합니다. 
- 증상
- 심낭 압전의 대표적인 증상은 호흡 곤란, 저혈압, 경정맥 팽대, 심음 감소입니다. 기이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.  
- 진단
- 심낭 압전은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. - ① 흉부 방사선 검사 : 심비대 
 ② 심전도 검사 : 저전위, electrical alterans
 ③ 심초음파 검사 : 삼출, 우심실 및 우심방의 허탈(collapse), 하대정맥 확장, 호흡에 따른 승모판 및 간정맥 혈류의 유의한 변화 
- 치료
- 심낭 압전을 치료하기 위해서 수액을 투여하여 우심실 용적을 증가시킵니다. 심낭 내의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충만압을 증가시킵니다. - 심낭 압전을 치료하는 우선적인 방법은 초음파 감시하에 심낭 천자(pericardiocentesis)를 시행하는 것입니다. 심전도, 심초음파, 방사선 투시가 준비된 상태에서 국소 마취하에 천자침으로 심막을 관통하여 심낭 삼출액을 빼냅니다. - 심낭 천자를 시행한 후에는 심낭 삼출액의 원인을 밝히는 검사를 시행하여 원인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해야 합니다. 심낭 천자에 따르는 합병증은 5% 이내로 알려져 있습니다. 심장 혈관의 파열로 인한 혈성 심낭 삼출, 우심실 천공, 쇼크 등 심각한 합병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. 
- 경과
- 심낭 압전에 의해 혈압이 떨어지면 쇼크가 발생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. 
- 주의사항
- 응급 심막 천자를 시행하지 않으면 대부분 사망합니다. 심막 천자를 성공적으로 시행하면 환자의 상태는 매우 호전됩니다. 그러나 원인이 되는 질병에 따라 예후가 달라집니다. 
알기쉬운 의학용어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![멈춰가는 심장을 살리기 위해, 매일 치열한 사투를 벌이다 [심장내과 중환자실(CCU) 전담의사 편 - 하루;병원에 사는 사람들] 미리보기](https://img.youtube.com/vi/4hHIG5i-8S0/mqdefault.jpg)














